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

달리기 - 초보자를 위한 5km/10km 달리기 계획 달리기는 몸매를 유지하고 활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다음은 초보자를 위한 달리기 계획입니다. (참고로 본 계획은 betterme.world 사이트에서 제시한 것입니다.) 5km와 10km 달리기 계획을 몇 주에 걸쳐서 실현하기 위한 스케줄입니다. 1. 초보자를 위한 5km 달리기 계획 첫 5km 달리기를 완주하려는 경우 이것이 바로 우리를 위한 달리기 계획입니다. 아래의 훈련 일정은 점차적으로 달리기 시간과 거리를 늘려 프로그램이 끝날 때까지 아무 문제 없이 5km 경주를 완주할 수 있도록 합니다. - 1주차 1일차 : 5분 동안 걷고 2분 동안 뛰십시오. 이 주기를 4번 반복합니다. 2일차 : 5분 동안 걷고 3분 동안 뛰십시오. 이 주기를 4번 반복합니다. 3일차 : 휴식 4일.. 2023. 4. 24.
달리기 - 좋은 점, 시작하는 방법 달리기는 몸매를 멋있게 유지하고 활동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달리기는 친구나 가족 또는 혼자서도 할 수 있는 즐거운 취미가 될 수도 있습니다. 달리기는 많은 좋은 점이 있습니다. 초보자로서 어떻게 하면 달리기를 시작할 수 있을까요? 아래에는 달리기를 해야 하는 7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전에 달리기를 규칙적으로 해 보지 않은 달리기 초보자들을 위해 달리기를 시작하는 방법에 대한 필수 가이드를 제시하겠습니다. 1. 왜 달리기를 해야 할까요? 노력할 가치가 있는 7가지의 이유 초보자를 위한 달리기 훈련 계획을 찾고 있다면 아직 달리기에는 관심이 있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고 있다는 뜻입니다. 러너가 되고 싶은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일반적인 이유는 달리기가 정.. 2023. 4. 23.
벡터와 행렬연산 1. 벡터 벡터랑 한 개의 행이나 한 개의 열로 이루어진 행렬을 말합니다. 한 개의 열로 이루어진 행렬을 열벡터라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한 개의 행으로 이루어진 행렬을 행벡터라고 합니다. 벡터 중에서 특별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자주 쓰이는 것이 있습니다. 단위벡터, 영벡터, 합벡터가 있습니다. 1) 단위 벡터 단위벡터란 벡터의 하나의 원소가 1이고, 이것을 제외한 모든 원소가 0인 벡터를 의미합니다. 이때 i번째 원소가 1인 단위벡터를 i번째 단위벡터라고 합니다. 2) 영벡터 영벡터란 모든 원소가 0인 벡터를 말합니다. 3) 벡터의 연산 - 벡터의 덧셈 - 같은 차원의 공간인 벡터의 덧셈, 뺄셈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3차원 이상의 벡터는 연산이 불가능합니다.) - 벡터의 덧셈은 교환법칙이 성립합니다... 2023. 4. 21.
행렬 1. 개요 행렬이란 행과 열로서 배열된 수들의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적 배열입니다. 각 열들의 길이를 n라고 할 때 이들의 길이는 서로 같고 각 행들의 길이를 m이라고 한다면 이들의 길이도 서로 같습니다. 그러나 각 행 m과 열 n의 값이 꼭 같아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m번째 행, n번째 열에 있는 원소를 a-mn 나타내고 행렬 A가 m개의 행과 n개의 열을 갖는다면 행렬 A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행에서 3개의 점은 원소가 a11, a12, a13에서 연속적으로 a13까지 이어지고 그런 후에 다시 a1n 까지 이어짐을 의미합니다. 열에 표현된 점들도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위와 같이 행렬을 표현하면 그 행렬에 속한 모든 원소나 그 행렬의 크기 등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 2023. 4. 20.
기저/차원 (Basis / Dimension) 공간을 이루는 기초 요소 벡터인 기저(Basis)에 대한 개념입니다. 기저는 어떤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기본 재료라 할 수 있고, 공간의 차원(Dimension)을 결정하는 중대한 도구입니다. 선형대수학에서 등장하는 많은 기저와 공간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유클리드 공간, 내적 공간, 직교 공간 등) 고등학교 수학에서 벡터 표변을 (4, 2, 3)으로 했다면 대학교 미적분학에서는 이보다 4i+2j+3k 로 하게 되는데 이를 기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대표적인 예시 입니다. 1. 기저(Basis) 벡터공간 V의 부분집합 b={v1, v2, v3, ..} 에 대해 b가 다음의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 - b = {v1, v2, v3,...}는 일차 독립이다. - b = {v1, v2, v.. 2023. 4. 19.
전파오차 / Taylor 급수 1. 덧셈과 뺄셈에 의해 전파되는 오차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치해를 구할 경우, 오차가 발생한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칙연산을 할 경우 하나의 연산에 의해 발생한 오차가 다음 연산에도 영향을 미쳐 오차의 크기를 가중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전 단계에서부터 발생한 오차가 다음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오차의 전파라고 한다. 이는 다항함수를 이용한 연산에서도 오차가 전파됨을 알 수 있다. 2. Tayler 급수 Tayler 급수는 수치해석에서 근사식 표현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Tayler 급수는 연속적으로 차원이 높아지는 도함수들의 합을 이용하여 전개한다. 하나의 독립변수 x에만 종속적인 함수 f(x)에 대하여, 점 x0 + h에서 함수의 근삿값은 Tayler 급수로 나타낼 수 있다. T.. 2023. 4. 18.